Thinking About / 인공지능 시대, 전통문화예술의 새로운 길
- Midlife Culture / 김태미 칼럼니스트 / 2025-10-11 22:42:15
디지털 전환을 통한 접근성 및 확장성 강화
전통문화예술은 과거에 머무르지 않고,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더 많은 대중에게 다가가야 한다. 예를 들어, 챗GPT와 같은 AI 언어 모델을 활용해 판소리나 전통 설화를 현대적인 언어와 스토리로 재구성하여 젊은 층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전통 건축물을 가상현실로 구현하거나, AI가 생성한 전통 문양과 패턴을 활용한 디지털 의상과 상품을 제작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통문화를 확장할 수 있다.
AI를 창작의 도구로 활용
AI는 예술가의 창작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라, 창작을 돕는 도구가 되어야 한다. AI는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학습하여 새로운 패턴과 조합을 제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통 회화, 음악, 무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예술가들은 AI의 제안을 바탕으로 새로운 영감을 얻거나, 기존에 시도하지 않았던 형태의 작품을 만들어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I가 기존의 사군자 그림을 학습하여 새로운 형태의 현대적인 수묵화를 제안하거나, 전통 음악의 리듬과 멜로디를 분석하여 새로운 국악 작곡을 돕는 방식이다.
전통문화의 원형 보존 및 데이터 구축
AI 기술을 활용하여 전통문화유산의 원형을 보존하고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훼손되거나 소멸 위기에 놓인 고문서, 고미술품, 전통 음악 등을 3D 스캔, 고해상도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를 AI에 학습시켜 전통문화의 고유한 특징과 맥락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전통문화의 가치를 재조명하거나 미래 세대에 효과적으로 전승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AI 기술 윤리와 전통문화의 가치 정립
AI가 전통문화예술 분야에 깊숙이 관여할수록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AI가 만든 작품의 저작권 문제, 전통문화의 고유성과 정체성 훼손 가능성 등 여러 가지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AI가 단순히 전통문화를 모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전통문화가 지닌 철학과 가치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도록 관련 논의와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AI가 전통문화의 진정한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방향성을 모색해야 한다.
AI 시대의 전통문화예술은 단순히 기술을 받아들이는 것을 넘어,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더 넓은 세계와 소통하며, 미래 세대에게 전통문화의 소중함을 전달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 ‘휴온스 챔피언십’ ‘PBA 국내 대표 각각 이희진 김봉철 김성민2 3:0 승리 ‘시즌 챔피언’ 모리 이승진은 승부치기 승 LPBA 32강서는 김가영 스롱 나란히 16강강자’ 조재호 강동궁 최성원, 나란히 64강 진출
-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데메테르(Demeter), 중식 테마 프로모션 ‘Wok This Way(지지고 볶는 차이나)’ 선봬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미쉐린 3스타 ‘효테이’ 초청 미식 행사로 정통 가이세키의 진수 선보여
- LPBA ‘20대 팀리거’ 조예은 용현지 N.응우옌 PQ라운드 진출
- Health / 검사를 통한 초기치료가 효과적 전립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