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tro / 수인선 협궤열차, 일명 꼬마열차를 아십니까? "1995년 12월 31일 수인선 협궤열차 폐선"
- Midlife Culture / 조용수 기자 / 2025-10-11 22:51:54
장난감 기차가 칙칙 떠나간다. 과자와 설탕을 싣고서. 엄마 방에 있는 우리 아기한테 갖다 주러 갑니다. 아이 어렸을 적, 거실에 플라스틱 레일을 깔고 장난감 기차를 운행(?)할 때 불러줬던 노래. 그때마다 떠오르던 꼬마 열차. 수원 역에서 처음 꼬맹이 기차를 보고 정말이지 저 작은 게 어떻게 기차 역할을 할까? 고개가 갸웃거려졌다.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1
기차는 작았지만, 그 안에 타고 있던 이들의 마음은 결코 작지 않았던, 아니 작지 않을 정도가 아니라 우주만큼 크고 넓게 보였다. 아, 더러는 그악스럽기도 했겠지만……. 아무튼 주단 집 보자기나 이불 호청으로 쓰일만한 헝겊으로 덮개를 만들어 고무줄로 싸맨 빨간 고무 다라이 -(함지나 바구니란 단어보다 정감이 간다고 해서 사대주의의 잔재라 내몰지 마시길)- 에 새우젓이나 말린 생선 가득 담고 기차 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목젖이 보이도록 웃어젖히던 아주머니들. 삶이 버거웠음에도 내색하지 않던 우리 어머니들의 자화상이었다. 내게도 그런 어머니 모습이 남아 있을까? (남아 있기를…….)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2
1935년 착공, 1937년 8월 사유철도(私有鐵道)인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가 일제시대 수원에서 인천까지 운행하며 군자, 남동, 소래 등 염전지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운반하고 경기 지역에서 강탈한 물건들을 일본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부설한 수인선 협궤열차는 광복 이후 사철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교통부 철도국 소유로 변경, 1980년대에 들어서는 기존의 증기기관차에서 동차로 바뀌었으며 도로교통의 절전과 안산선의 개통으로 차츰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73년 11월, 하 인천-송도 구간의 협궤 여객 취급이 중단되고 표준궤로 바뀌어 화물 업무만 취급하게 되었으며, 1992년에는 송도-소래 구간이, 1994년에는 소래-한대 앞 구간이 폐선 되었다. 1995년 12월 31일 폐선 직전까지 한국 유일의 협궤 철도로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았던 협궤열차는 서민들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고달픈 삶의 한 부분이기도 했다.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3
1990년 화성군 야목 역 건널목에서였다지? 이 작은 기차가 소형버스와 충돌했는데, 전복된 것은? 아이고, 버스가 아닌 기차였단다. 시쳇말로 기차의 굴욕이다. 운행 중 언덕을 만나 열차가 올라가지 못하면 손님들이 내려 밀거나 걸어야 했고, 눈이 조금이라도 쌓이는 날이면 미끄러져 탈선하기도 했다니……. 열차가 워낙 작아 생긴 웃지 못할 일이다.
마주 앉은 이의 얼굴에 있는 생채기까지 보일 정도로 좁은 객실, 서 있을라치면 열차의 흔들림에 따라 좌우로 앞뒤로 함께 움직이며 과자와 사탕 대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이 될 이것저것을 이고 지고 메고 일터로 향했을 우리의 아버지 어머니……. 그 덕에 재잘재잘 조잘조잘 대며 학교 다니던 멍게 얼굴에 까까머리 남학생들과 갈래머리 여학생들은 지금, 그만한 나이의 자식을 두었거나 아님 벌써 시집 장가보내고 서로 등 긁어주며 살고 있겠지? 그들의 기억 속에 비릿한 바다 내음 가득했던 꼬마열차는 또 어떤 추억으로 숨쉬고 있을까?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1
기차는 작았지만, 그 안에 타고 있던 이들의 마음은 결코 작지 않았던, 아니 작지 않을 정도가 아니라 우주만큼 크고 넓게 보였다. 아, 더러는 그악스럽기도 했겠지만……. 아무튼 주단 집 보자기나 이불 호청으로 쓰일만한 헝겊으로 덮개를 만들어 고무줄로 싸맨 빨간 고무 다라이 -(함지나 바구니란 단어보다 정감이 간다고 해서 사대주의의 잔재라 내몰지 마시길)- 에 새우젓이나 말린 생선 가득 담고 기차 바닥에 털썩 주저앉아 목젖이 보이도록 웃어젖히던 아주머니들. 삶이 버거웠음에도 내색하지 않던 우리 어머니들의 자화상이었다. 내게도 그런 어머니 모습이 남아 있을까? (남아 있기를…….)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2
1935년 착공, 1937년 8월 사유철도(私有鐵道)인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가 일제시대 수원에서 인천까지 운행하며 군자, 남동, 소래 등 염전지대에서 생산되는 소금을 운반하고 경기 지역에서 강탈한 물건들을 일본으로 실어 나르기 위해 부설한 수인선 협궤열차는 광복 이후 사철 국유화 정책에 따라 교통부 철도국 소유로 변경, 1980년대에 들어서는 기존의 증기기관차에서 동차로 바뀌었으며 도로교통의 절전과 안산선의 개통으로 차츰 쇠퇴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1973년 11월, 하 인천-송도 구간의 협궤 여객 취급이 중단되고 표준궤로 바뀌어 화물 업무만 취급하게 되었으며, 1992년에는 송도-소래 구간이, 1994년에는 소래-한대 앞 구간이 폐선 되었다. 1995년 12월 31일 폐선 직전까지 한국 유일의 협궤 철도로 많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받았던 협궤열차는 서민들의 중요한 교통수단으로 고달픈 삶의 한 부분이기도 했다.
꼬마열차를 추억하다 3
1990년 화성군 야목 역 건널목에서였다지? 이 작은 기차가 소형버스와 충돌했는데, 전복된 것은? 아이고, 버스가 아닌 기차였단다. 시쳇말로 기차의 굴욕이다. 운행 중 언덕을 만나 열차가 올라가지 못하면 손님들이 내려 밀거나 걸어야 했고, 눈이 조금이라도 쌓이는 날이면 미끄러져 탈선하기도 했다니……. 열차가 워낙 작아 생긴 웃지 못할 일이다.
마주 앉은 이의 얼굴에 있는 생채기까지 보일 정도로 좁은 객실, 서 있을라치면 열차의 흔들림에 따라 좌우로 앞뒤로 함께 움직이며 과자와 사탕 대신 우리에게 일용할 양식이 될 이것저것을 이고 지고 메고 일터로 향했을 우리의 아버지 어머니……. 그 덕에 재잘재잘 조잘조잘 대며 학교 다니던 멍게 얼굴에 까까머리 남학생들과 갈래머리 여학생들은 지금, 그만한 나이의 자식을 두었거나 아님 벌써 시집 장가보내고 서로 등 긁어주며 살고 있겠지? 그들의 기억 속에 비릿한 바다 내음 가득했던 꼬마열차는 또 어떤 추억으로 숨쉬고 있을까?
tips : 수인선 협괘열차
수원과 남인천역 사이를 오가던 수인선 협궤열차 표준궤도의 절반에 불과한 폭 76센티인 이 협궤열차는 지난 1937년3월 조선철도주식회사에 의해 수원-남인천사이 52킬로 구간에 부설됐다. 당초 이 철도는 일제가 이천 여주의 쌀과 소래 남동등 염전지대의 소금을 수탈, 인천항을 통해 반출키위해 가설된다.
광복후 60년대 초까지는 증기기관차가 여객차 6랑과 화물차 7랑을 달고 다녔고 수원-남인천 사이 15개역을 하루평균 7회가량 운행해 주변 상인들과 어민 통학생들의 주요한 교통수단이었다. 특히 원곡고개(경기 안산시)를 오를 때는 승객들이 내려야할 정도로 손님이 많았으나 버스등 다른 교통수단이 많이 생기면서 73년에는 남인천역과 용현역이, 74년에는 고색역이 문을 닫았고 급기야 92년 7월에는 송도-수원 46.3킬로 구간 중 소래-송도구간의 운행이 중단돼 현재는 수원-소래간 38킬로 구간을 운행하는데 그치고 있다.
열차가 작고 시속 38킬로의 [느림보 열차]이다보니 나란히 달리던 승용차가 건널목에서 급격히 가로질러 가기도 해 기관사가 놀란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는 에피소드를 지닌 이 수원선 협괘열차는 1990년에는 야목 건널목에서 버스와 부딪친 협궤열차가 넘어진적도 있고 총 58개 건널목에서는 정작 건너려는 차보다 [꼬마열차]가 지레 겁을 먹고먼저 서 주는 경우도 많이 있었다고 한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 ‘휴온스 챔피언십’ ‘PBA 국내 대표 각각 이희진 김봉철 김성민2 3:0 승리 ‘시즌 챔피언’ 모리 이승진은 승부치기 승 LPBA 32강서는 김가영 스롱 나란히 16강강자’ 조재호 강동궁 최성원, 나란히 64강 진출
-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데메테르(Demeter), 중식 테마 프로모션 ‘Wok This Way(지지고 볶는 차이나)’ 선봬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미쉐린 3스타 ‘효테이’ 초청 미식 행사로 정통 가이세키의 진수 선보여
- LPBA ‘20대 팀리거’ 조예은 용현지 N.응우옌 PQ라운드 진출
- Health / 검사를 통한 초기치료가 효과적 전립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