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is / 1973년 5월 8일은 어버니 날이 시행된 날>
- Midlife Culture / 유성욱 기자 / 2025-05-08 17:41:47
![]() |
▲ photo - pixabay |
추락한 아빠의 권위, 그래도 “I'm happy?”
전통적 가부장권의 붕괴는 새삼스러운 얘기가 아닙니다. 저녁 식사 때 아버지가 독상을 받고 자식들이 그 다음에 밥을 먹은 뒤 어머니는 부엌에서 남은 음식으로 허기진 배를 채운다는 얘기는 이제 아득히 먼 옛날의 전설일 뿐입니다.
![]() |
▲ photo - pixabay |
우리나라의 가장은 '책임감만 많고 지위는 추락했다'는 불평 섞인 넋두리를 할 것이라던 예상과 달리, 가정에서 가장의 지위가 낮아짐과 동시에 '가족을 먹여 살려야 한다'는 중압감으로부터도 어느 정도 해방되어 실제로는 '해피'하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왜 이리 씁쓸한 것일까요? 그리고 마냥 가장으로서의 의무감이 줄어들었다는 것만으로 행복해 할 수 있는 걸까요? 그것이 추락한 아버지들의 진심일까요?
![]() |
▲ photo - pixabay |
오늘날 아버지라는 존재는 이미 가부장적인 위치에서 떨어져 나가 돈이나 열심히 벌어다주는 사람쯤으로 인식된다. 아버지는 전락한 지 오래. 가솔을 호령하는 권력자도 아니고, 집안 구석구석을 챙겨 명령하는 어른은 더더욱 아니죠. 밖에서 늘 사람들과 만나 술에 취해 들어오는 아버지의 모습이 아이들에게 비친 이 시대 아버지의 모습일지 모릅니다.
거창하게 아버지의 권위를 들먹이지 않아도 혹은 그들에게 동정의 마음을 보내지 않을 지라도 어정쩡하게 되어 버린 아버지의 자리를 채워 줄 수 있는 건 무엇일까 스스로에게 물어 봅니다. 그건 보이진 않지만 우물 안 두레박에서 건져 올린 샘물 같은 깊은 사랑을 그저 자녀에게 아내에게 건네지 못한 마냥 작아진 아버지들의 마음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 ‘휴온스 챔피언십’ ‘PBA 국내 대표 각각 이희진 김봉철 김성민2 3:0 승리 ‘시즌 챔피언’ 모리 이승진은 승부치기 승 LPBA 32강서는 김가영 스롱 나란히 16강강자’ 조재호 강동궁 최성원, 나란히 64강 진출
-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데메테르(Demeter), 중식 테마 프로모션 ‘Wok This Way(지지고 볶는 차이나)’ 선봬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미쉐린 3스타 ‘효테이’ 초청 미식 행사로 정통 가이세키의 진수 선보여
- LPBA ‘20대 팀리거’ 조예은 용현지 N.응우옌 PQ라운드 진출
- Health / 검사를 통한 초기치료가 효과적 전립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