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nterview / ‘중랑마실’과 ‘새벽청소’가 트레이드마크, 류경기 중랑구청장
- Interview / 조용수 기자 / 2024-11-15 16:35:01
구민과의 만남·소통·대화·협력에 힘쓰는 ‘친구 같은 구청장’
중랑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빛을 발할 소중한 지역의 자산을 많이 보유한 도시이다. 이러한 자산을 기초로 중랑구민의 자부심을 높이면서 지역의 굵직한 현안들을 하나씩 실현하고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다양한 주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때론 당장 가려운 곳을 긁어드리고, 때론 100년 후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 : 중랑구의 발전과 변화는 현장을 잘 알아야 나온다고 생각하고 구청장 취임 후부터 ’우문현답‘의 자세로 현장을 늘 강조해 왔다. 특히 동네에 직접 살면서 동네 사정을 잘 아시는 주민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래서 현장에서 주민을 만나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소통 창구인 ’중랑마실‘과 ’새벽청소‘를 운영하고 있다. ‘중랑마실’은 구청장이 직접 다양한 주제로 주민들이 모인 곳을 찾아가거나 주민의 이야기를 듣는 소통의 자리이며, 취임 초부터 시작한 ‘새벽청소’ 역시 지금도 이어가고 있다. 주민들도 자발적으로 청소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실제로 동네 곳곳이 깨끗해졌다. 거리를 다니는 주민들의 만족감과 행복도 높아지고, 지역에 대한 애정도 커지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현장에서 수많은 주민들을 접하다 보면 구정과제를 직접 눈과 귀로 확인할 수 있고 변화와 개선을 체감할 수 있어 굉장한 보람을 느낀다. 주민 가까이 다가가는‘친구 같은 구청장’으로 늘 현장을 찾아 주민의 지혜를 모으고 주민과의 소중한 약속 하나하나 주민의 열망을 실현하겠다.
A : 아이들의 미래가 곧 중랑의 미래라고 할 만큼 교육은 중랑구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키워드다. 교육인프라가 탄탄한 도시는 사람이 모이고 성장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중랑구는 우골탑의 정신으로 교육을 구정운영의 최우선으로 삼아 크게 세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A : 망우역사문화공원은 1933년부터 1973년까지 40년간 망우리 공동묘지로 운영되었던 곳으로 만해 한용운, 소파 방정환, 유관순 열사 등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80여 분이나 잠들어 계시는 역사적으로 의미 깊은 명소다. 또한, 망우역사문화공원에는 숲 냄새를 맡으며 운동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4.7km의 순환산책길과 전망대에서 중랑구를 한눈에 바라보는 조망이 아주 뛰어나다. 그러나 공동묘지라는 부정적 인식과 이분화된 소유와 관리주체, 도시공원법 등으로 인한 여러 제약 때문에 서울의 대표 역사문화공원으로의 조성은 미진한 상태였다.
A : ‘중랑서울장미축제’는 대한민국 최고의 5월 축제이자. 매년 역대 최고의 방문기록을 경신할 만큼 인기있는 축제로 자리잡았다. 중랑천을 따라 약 5.45㎞의 국내 최대 규모 장미터널과 31만 주 209종의 천만 송이 아름다운 장미가 만발하여 찾아오신 분들이 무척 행복해하시던 모습이 기억난다. 장미축제의 인기비결은 일회성 축제가 아닌 장미를 중심으로 장미를 자산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가기 때문이다. 올해도 장미 8000주를 추가로 식재했으며, 전지작업 등 개화 시기를 세심하게 관리해 보다 풍성한 꽃송이를 볼 수 있었다. 축제는 주민이 주도한다는 특징이 강하다. 홍보포스터, 퍼레이드, 공연에 주민이 참여하고 주민들이 어울려 모두 함께 축제를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장미전시, 장미 굿즈 등 장미의 모든 것을 보고 즐길 수 있도록 매년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와 문화 공연까지 즐길 수 있는 축제로 만들고 있다. 향후 장미연구소를 만들어 장미전시, 장미 굿즈 등 장미의 모든 것을 한데 볼 수 있도록 준비하려고 한다.
A : 지방분권 시대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마다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양성되어야 하고, 고루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지역에 필요한 ‘신지식인’은 지역의 개별적 특성을 이해하면서 전체적인 성장을 고려해 장기적인 발전을 그려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지역마다 개별성과 공통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종합 능력이 필요하다. 구성원 개개인이 가진 경험과 정보를 발굴하고, 이를 다시 공동체의 자원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소통 능력과 정보의 통합, 연결 능력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는 성숙한 민주주의와 투명한 정보 공유와 함께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독려하는 교육 토론 문화로 신지식인의 활동을 뒷받침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도 구민과의 만남과 소통, 대화, 협력에 힘쓰며 중랑구 발전과 구민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주민 가까이 다가가는‘친구 같은 구청장’으로 늘 현장을 찾아 주민의 지혜를 모으고 주민과의 소중한 약속 하나하나 주민의 열망을 실현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인터뷰를 마쳤다.
중랑구는 시간이 흐를수록 빛을 발할 소중한 지역의 자산을 많이 보유한 도시이다. 이러한 자산을 기초로 중랑구민의 자부심을 높이면서 지역의 굵직한 현안들을 하나씩 실현하고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다양한 주민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때론 당장 가려운 곳을 긁어드리고, 때론 100년 후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A : 중랑구의 발전과 변화는 현장을 잘 알아야 나온다고 생각하고 구청장 취임 후부터 ’우문현답‘의 자세로 현장을 늘 강조해 왔다. 특히 동네에 직접 살면서 동네 사정을 잘 아시는 주민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 그래서 현장에서 주민을 만나 현안에 대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는 소통 창구인 ’중랑마실‘과 ’새벽청소‘를 운영하고 있다. ‘중랑마실’은 구청장이 직접 다양한 주제로 주민들이 모인 곳을 찾아가거나 주민의 이야기를 듣는 소통의 자리이며, 취임 초부터 시작한 ‘새벽청소’ 역시 지금도 이어가고 있다. 주민들도 자발적으로 청소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실제로 동네 곳곳이 깨끗해졌다. 거리를 다니는 주민들의 만족감과 행복도 높아지고, 지역에 대한 애정도 커지는 효과까지 거둘 수 있다. 현장에서 수많은 주민들을 접하다 보면 구정과제를 직접 눈과 귀로 확인할 수 있고 변화와 개선을 체감할 수 있어 굉장한 보람을 느낀다. 주민 가까이 다가가는‘친구 같은 구청장’으로 늘 현장을 찾아 주민의 지혜를 모으고 주민과의 소중한 약속 하나하나 주민의 열망을 실현하겠다.
A : 아이들의 미래가 곧 중랑의 미래라고 할 만큼 교육은 중랑구의 미래를 위한 가장 중요한 키워드다. 교육인프라가 탄탄한 도시는 사람이 모이고 성장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중랑구는 우골탑의 정신으로 교육을 구정운영의 최우선으로 삼아 크게 세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교육에 집중하고 있다.
A : 망우역사문화공원은 1933년부터 1973년까지 40년간 망우리 공동묘지로 운영되었던 곳으로 만해 한용운, 소파 방정환, 유관순 열사 등 우리나라의 근현대사를 대표하는 인물들이 80여 분이나 잠들어 계시는 역사적으로 의미 깊은 명소다. 또한, 망우역사문화공원에는 숲 냄새를 맡으며 운동과 산책을 즐길 수 있는 4.7km의 순환산책길과 전망대에서 중랑구를 한눈에 바라보는 조망이 아주 뛰어나다. 그러나 공동묘지라는 부정적 인식과 이분화된 소유와 관리주체, 도시공원법 등으로 인한 여러 제약 때문에 서울의 대표 역사문화공원으로의 조성은 미진한 상태였다.
A : ‘중랑서울장미축제’는 대한민국 최고의 5월 축제이자. 매년 역대 최고의 방문기록을 경신할 만큼 인기있는 축제로 자리잡았다. 중랑천을 따라 약 5.45㎞의 국내 최대 규모 장미터널과 31만 주 209종의 천만 송이 아름다운 장미가 만발하여 찾아오신 분들이 무척 행복해하시던 모습이 기억난다. 장미축제의 인기비결은 일회성 축제가 아닌 장미를 중심으로 장미를 자산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이어가기 때문이다. 올해도 장미 8000주를 추가로 식재했으며, 전지작업 등 개화 시기를 세심하게 관리해 보다 풍성한 꽃송이를 볼 수 있었다. 축제는 주민이 주도한다는 특징이 강하다. 홍보포스터, 퍼레이드, 공연에 주민이 참여하고 주민들이 어울려 모두 함께 축제를 만들어가고 있다. 또한, 장미전시, 장미 굿즈 등 장미의 모든 것을 보고 즐길 수 있도록 매년 새롭고 다양한 콘텐츠와 문화 공연까지 즐길 수 있는 축제로 만들고 있다. 향후 장미연구소를 만들어 장미전시, 장미 굿즈 등 장미의 모든 것을 한데 볼 수 있도록 준비하려고 한다.
A : 지방분권 시대 지역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마다 그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들이 양성되어야 하고, 고루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지역에 필요한 ‘신지식인’은 지역의 개별적 특성을 이해하면서 전체적인 성장을 고려해 장기적인 발전을 그려낼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지역마다 개별성과 공통성이 있기 때문에 이를 이해할 수 있는 지식과 정보의 종합 능력이 필요하다. 구성원 개개인이 가진 경험과 정보를 발굴하고, 이를 다시 공동체의 자원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소통 능력과 정보의 통합, 연결 능력이 필요하다. 지역사회는 성숙한 민주주의와 투명한 정보 공유와 함께 개인의 성장과 발전을 독려하는 교육 토론 문화로 신지식인의 활동을 뒷받침하고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앞으로도 구민과의 만남과 소통, 대화, 협력에 힘쓰며 중랑구 발전과 구민의 행복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류경기 중랑구청장은 주민 가까이 다가가는‘친구 같은 구청장’으로 늘 현장을 찾아 주민의 지혜를 모으고 주민과의 소중한 약속 하나하나 주민의 열망을 실현하겠다는 약속과 함께 인터뷰를 마쳤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 ‘휴온스 챔피언십’ ‘PBA 국내 대표 각각 이희진 김봉철 김성민2 3:0 승리 ‘시즌 챔피언’ 모리 이승진은 승부치기 승 LPBA 32강서는 김가영 스롱 나란히 16강강자’ 조재호 강동궁 최성원, 나란히 64강 진출
-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데메테르(Demeter), 중식 테마 프로모션 ‘Wok This Way(지지고 볶는 차이나)’ 선봬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미쉐린 3스타 ‘효테이’ 초청 미식 행사로 정통 가이세키의 진수 선보여
- LPBA ‘20대 팀리거’ 조예은 용현지 N.응우옌 PQ라운드 진출
- Health / 검사를 통한 초기치료가 효과적 전립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