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체지방은 내리고 건강은 올리려면, 식사는 천천히 반찬은 싱겁게
- Midlife Health / 최장용 / 2025-05-16 22:40:13
- 체지방의 주원인인 기름기는 대부분 반찬에 몰려
- 체지방 줄이는 식습관의 첫째 계명은 천천히 먹는 것
[Smart Senior News=최장용 기자] 밥은 별로 안 먹는데 왜 자꾸 살이 찌는 걸까? 하는 의문이 있다면 식습관을 한 번 생각해보자. 혹시 밥 한술 뜨고서 반찬 이것저것에 젓가락을 대지는 않는지. 그게 문제다. 체지방의 주원인인 기름기는 대부분 반찬에 몰려 있다. 그러니 밥보다 반찬을 더 먹는다면 살이 찔 가능성도 큰 것이다.
체지방을 줄이는 것은 먹는 방법 나름이다. 똑같은 정도로 배부름을 느끼면서도 식습관에 따라 먹는 양과 섭취 열량(칼로리)을 줄일 수 있다. 체지방 줄이는 식습관의 첫째 계명은 천천히 먹는 것. 포만감이 들려면 먹은 음식이 혈당량에 변화를 줄 때까지 20 ~ 30분이 필요하다. 때문에 빨리 먹으면 배부름을 제대로 느끼지 못해 과식하게 된다.
- 체지방 줄이는 식습관의 첫째 계명은 천천히 먹는 것
![]() |
▲ photo - pixabay |
체지방을 줄이는 것은 먹는 방법 나름이다. 똑같은 정도로 배부름을 느끼면서도 식습관에 따라 먹는 양과 섭취 열량(칼로리)을 줄일 수 있다. 체지방 줄이는 식습관의 첫째 계명은 천천히 먹는 것. 포만감이 들려면 먹은 음식이 혈당량에 변화를 줄 때까지 20 ~ 30분이 필요하다. 때문에 빨리 먹으면 배부름을 제대로 느끼지 못해 과식하게 된다.
![]() |
▲ photo - pixabay |
밥을 먹으면서 이야기를 나누거나, 밥 한술을 입에 넣은 뒤에는 반드시 숟가락을 잠시 식탁에 내려놓는 것 등은 천천히 먹는 버릇을 길러준다. 꼭꼭 씹어먹는 것도 식사시간을 늘리는 방법이다. 입에 익은 것보다 더 짜거나 매운 음식도 피해야 할 대상이다. 맛을 느끼는 감각뿐 아니라 식욕도 함께 자극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끼니를 거르는 절식 다이어트는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 안동대 이혜상(식품영양학) 교수는 "섭취 열량이 갑자기 크게 줄면 우리 몸은 영양을 비축하려고 체지방을 더 활발히 만든다"고 했다. 결과적으로 급작스러운 절식은 오히려 체지방을 늘린다는 설명이다.
![]() |
▲ photo - pixabay |
자판기 커피를 즐겨찾는 것도 가능한 한 버려야 한다. 커피에 든 설탕과 프림은 칼로리 덩어리다. 꼭 커피를 마신다면 설탕 대신 올리고당을 쓸 것을 권한다. 비슷한 단맛을 내는 양이라면, 커피 한잔에 넣는 올리고당의 열량이 설탕의 절반이다. 또한 몸에 이로운 유산균이 잘 살도록 하는 것도 올리고당의 장점이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많이 본 기사
오늘의 이슈
- ‘휴온스 챔피언십’ ‘PBA 국내 대표 각각 이희진 김봉철 김성민2 3:0 승리 ‘시즌 챔피언’ 모리 이승진은 승부치기 승 LPBA 32강서는 김가영 스롱 나란히 16강강자’ 조재호 강동궁 최성원, 나란히 64강 진출
-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데메테르(Demeter), 중식 테마 프로모션 ‘Wok This Way(지지고 볶는 차이나)’ 선봬
-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미쉐린 3스타 ‘효테이’ 초청 미식 행사로 정통 가이세키의 진수 선보여
- LPBA ‘20대 팀리거’ 조예은 용현지 N.응우옌 PQ라운드 진출
- Health / 검사를 통한 초기치료가 효과적 전립선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