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lth / 음주학, 술 마시고 필름이 끊겼다?…중추 마비

Midlife Health / 유성욱 기자 / 2025-04-25 22:57:37
- 혈중 알콜 농도가 0.15~0.25%에 이르면 기억 중추를 마비시켜
▲ photo - pixabay
[Smart Senior News=유성욱 기자] 술에 취해 잠을 자고 일어나 보니 어제밤 술집에서 술을 마시던 생 각은 나는데, 집에 어떻게 찾아와 침대에 들어왔는지 기억이 안나는 경우가 있다. 종종 취중에 한 실언을 다음날 전혀 기억하지 못해 당황하게 되기 도 한다.
▲ photo - pixabay

흔히 말하는 '필름이 끊어진' 경우이다. 술을 마시면 알콜은 위장에서 흡수돼 혈관으로 전달된다. 술에 취 해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하는 것은 이 혈중 알콜이 뇌에 도달해 대뇌 피질부터 마비시키기 때문이다. 개인차는 있지만 취하는 정도는 혈중 알콜농도에 비례한다. 그런데 혈중 알콜 농도가 0.15~0.25%에 이르면 기억 중추를 마비시켜 술 마실 때 있었던 일들이 잘 기억나지 않게 된다.

▲ photo - pixabay

그러면 '필름이 끊어진' 상태에서 어떻게 집에 제대로 찾아갈 수 있을까?혈중 알콜 농도는 통상 음주 30분 뒤 최고로 높아지며, 몸을 움직이면 혈액 순환이 활발해져 급격히 올라간다. 따라서 술자리에서 몸을 일으켜 집에 가는 도중에는 기억을 제대로 하나, 그 동안 몸을 움직이므로 혈중알콜 농도가 급격히 올라가다가 집에 도착할 때쯤 최고치에 이르면서 기억을 잃게 되는 것이다.

 

[ⓒ 스마트 시니어뉴스 욜드(YOLD). 무단전재-재배포 금지]